신라 신무왕릉(新羅 神武王陵) 신라 신무왕릉(新羅 神武王陵) 사적 제185호 소재지:경북 경주시 동방동 660 이 능은 신라 제45대 신무왕(재위 839, 김우징)이 모셔진 곳이다. 봉분의 크기는 높이 3m, 지름 16m이며, 둥글게 흙을 쌓은 원형 봉토분이다. 봉분의 바닥에는 둘레돌로 보이는 자연석이 노출되어 있다. 이처럼 자연호.. 문화재,사찰 갤러리 2013.09.16
보물 제683호 상주 상오리 칠층석탑(尙州 上五里 七層石塔) 상주 상오리 칠층석탑(尙州 上五里 七層石塔) 보물 제683호 소재지:경북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 699 이 석탑은 이중기단(二重基壇)위에 7층의 몸돌을 형성한 일반형 석탑으로 높이는 9.21m이다. 상,하 기단은 여러 장의 판석(板石)으로 짜여졌으며 상층 기단 덮개돌에는 얕은 부연(副椽)이 본.. 문화재,사찰 갤러리 2013.09.10
함양 이은리석불(咸陽 吏隱里石佛) 함양 이은리석불(咸陽 吏隱里石佛) 경남 유형문화재 제32호 소재지:경남 함양군 함양읍 운림리 이 석불은 1950년 무렵, 함양읍 이은리 냇가에서 출토되어 현재 위치로 옯겨 놓은 것이다. 아마 홍수 때 사찰이 유실되면서 물에 쓸려 내려온것이 아닐까 추측된다. 출토 지역으로부터 약 30.. 문화재,사찰 갤러리 2013.09.06
경주 남산동 석조감실(慶州 南山洞 石趙龕室) 경주 남산동 석조감실(慶州 南山洞 石趙龕室) 경북 문화재자료 제6호 소재지:경북 경주시 남산동 산 58 이 감실(龕室)의 크기는 높이 2.5m 내부공간의 바닥길이 1m, 높이 1.4m, 깊이 0.9m인데, 석조 불상을 모셔두었던 곳이다. 남향을 하고 있으며 그리 다듬지 않은 장대석으로 지대석을 삼고,그.. 문화재,사찰 갤러리 2013.09.05
수오재(守吾齋) 수오재(守吾齋) 최소 80~200년된 경북 칠곡, 마산 황부자집 사랑채, 본체, 청송의 옛 기와 지붕, 김제 만경의집, 경북 영천 등 옛 고택을 해체 옮겨 지은 고택들로 주춧돌과 장대석 모두 천년지난 신라석재 방바닥은 황토, 벽은 황토흙과 짚의 천연재료, 전통 한지의 문과 벽, 바닥은 콩기름.. 문화재,사찰 갤러리 2013.08.29
사적 제181호 신라 신문왕릉(新羅 神文王陵) 신라 신문왕릉(新羅 神文王陵) 사적 제181호 소재지:경북 경주시 배반동 453-1 이 능은 신라 제31대 신문왕(神文王), 재위681~692. 김정면)이 모셔진 곳으로 경주의 동남쪽에 있는 낭산(狼山)의 남쪽 긑에 위치하고 있다. 능은 둥글게 흙을 쌓은 원형 봉분통으로 밑둘레 92m지름 29m 높이 7.6m이.. 문화재,사찰 갤러리 2013.08.26
보물 제37호 남원 실상사 동.서 삼층석탑 남원 실상사 동.서 삼층석탑 보물 제37호 소재지: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4-129 이 쌍둥이 석탑은 통일신라 말 실상사를 처음 지으면서 함께 세운 것이다. 높이는 5.4m로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석탑이다. 층마다 몸체와 지붕을 각각 별개의 돌로 만들고, 각층 몸체의 모퉁이에는 기둥 모.. 문화재,사찰 갤러리 2013.08.24
원음각(圓音閣) 원음각(圓音閣) 경남 문화재자료 제140호 소재지:경남 창녕군 창녕읍 옥천리 1634년(인조 12)에 건립된 사원의 누각이다. 건물의 상량문(上樑文)에 따르면, 1763년(영조 39)에 크게 고쳐 지었다고 하는데, 1704년(숙종30) 대홍수 때 산사태로 훼손된 것을 고쳐 세운 것으로 짐작된다. 정면3칸, 측.. 문화재,사찰 갤러리 2013.08.22
통도사 극락전 (極樂殿) 통도사 극락전 (極樂殿) 경남 유형문화재 제194호 소재지: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아미타여래(阿彌陀如來)를 봉안하는 극락전은 아미타전 이라고도 하며, 또 극락세계에서 영원히 평안한 삶을 누린다 하여 무량수전(無量壽殿)이라고도 한다. 아미타여래가 다스리는 곳이 서방 극락정.. 문화재,사찰 갤러리 2013.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