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130호 선산 죽장동 오층석탑(善山 竹杖洞 五層石塔) 선산 죽장동 오층석탑(善山 竹杖洞 五層石塔) 국보 제130호 소재지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죽장리 505-2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의 5층 석탑으로 높이가 10m이다. 5층 석탑으로는 국내 최대의 규모이다. 탑의 밑바탕인 기단(基壇) 부분은 18매의 잘 다듬은 돌을 지면 위에 쌓고, 그 위에 상하 2.. 문화재,사찰 갤러리 2014.06.22
성덕왕릉 귀부 (聖德王陵 龜趺) 성덕왕릉 귀부 (聖德王陵 龜趺) 경북 유형문화재 제96호 소재지 : 경북 경주시 조양동 666 이 귀부는 신라 성덕왕(聖德王)의 능비에 세웠던 받침돌이다. 거북머리는 깨어져 없지만, 발은 앞으로 나아가려는 형상이다. 등에는 육각 귀갑(龜甲)무늬가 새겨졌고, 가운데에 비몸(碑身)을 꽃았던 .. 문화재,사찰 갤러리 2014.06.10
경주 성덕왕릉 (慶州 聖德王陵) 경주 성덕왕릉 (慶州 聖德王陵) 사 적 : 제28호 소재지 : 경북 경주시 불국동 이 능은 신라 제33대 성덕왕(聖德王 재위 702~737)을 모신 곳이다. 토함산(吐含山) 서쪽에 있는 형제봉(兄弟峰)의 동남쪽 구릉 말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성덕왕은 신문왕(神文王)의 둘째 아들로 형인 효소왕(孝昭王).. 문화재,사찰 갤러리 2014.06.05
보물 제69호 경주 망덕사지 당간지주 (慶州 望德寺址 幢竿支柱) 경주 망덕사지 당간지주 (慶州 望德寺址 幢竿支柱) 보물 제69호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배반동 964 당간은 옛날 절에서 불교의식이 있을 때 달던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았던 깃대인데, 당간을 고정시키기 위해 양옆에 세운 돌 기둥을 당간지주라고 한다. 이 당간지주는 망덕사지 서남쪽.. 문화재,사찰 갤러리 2013.11.23
오산곡 제2사지 마애석불 오산곡 제2사지 마애석불 오산곡은 국사곡 남쪽의 계곡인데 국사곡 입구를 지나면서 왼쪽에 있는 계곡이다. 이 바위산 능선의 중턱에 위치한 마애불은 멀리에서도 잘 보일뿐만 아니라 개선사지에서도 한 눈에 조망된다. 마애불은 거대한 바위면에 조각하였는데 신체와 얼굴 세부표현은 .. 문화재,사찰 갤러리 2013.10.31
경주남산 지암곡 제3사지 삼층석탑 (慶州南山 地巖谷 第3寺址 三層石塔) 경주남산 지암곡 제3사지 삼층석탑 (慶州南山 地巖谷 第3寺址 三層石塔) 경북 유형문화재 제449호 소재지:경상북도 경주시 남산동 이 삼층석탑은 경주 남산의 동록(東麓)사자봉에서 동남쪽으로 뻗어 내린 해발 310m의 완만한 능선 사면(斜面)에 있다. 이 석탑은 무너져서 1층의 탑신(塔身)받.. 문화재,사찰 갤러리 2013.10.18
경주남산 국사곡 제4사지 삼층석탑 (慶州南山 國師谷 第4寺址 三層石塔) 경주남산 국사곡 제4사지 삼층석탑 주변 석조유구(慶州南山 國師谷 第4寺址 三層石塔 周邊 石造遺構) 국사곡 제4사지 삼층석탑 주변 반경 20m 내외에 흩어져 있던 유구들을 2012년 10월경에 발견하여, 유구의 훼손을 방지하고 보존하기 위해 현 위치에 유구 받침대를 설치하고 정리해 놓은 .. 문화재,사찰 갤러리 2013.10.15
반고서원 유허비 (3기) 盤睾書院 遺墟碑 (3基) 반고서원 유허비 (3기) 盤睾書院 遺墟碑 (3基) 울산시 유형문화재 제13호 소재지: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산 200-1 유허비(遺墟碑)란 한 인물의 옛 자취를 밝혀 후세에 알리고자 세우는 비석으로, 이 비는 고려말 충신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1337~1392) 선생의 학덕을 기리고 있다. .. 문화재,사찰 갤러리 2013.10.10
보물 제911호 석굴암 삼층석탑(石窟庵 三層石塔) 석굴암 삼층석탑(石窟庵 三層石塔) 보물 제911호 소재지:경북 경주시 진현동 994 이 탑은 석굴암에서 동북쪽으로 약 160m 떨어진 언덕에 있다. 두겹으로 된 둥근 기단은 높고 큼직한 원형으로, 8각이 조화를 이루고 있어 특이한 모습이며 그 위로 4각의 몸돌을 3층으로 쌓아 올렸다. 원형 기단.. 문화재,사찰 갤러리 2013.09.28